본문 바로가기

Dev Career/Concept Summary4

<2021.07.02>Get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 1.사용 목적에 따른 차이 Get은 서버의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요청할때, Post는 서버의 리소스를 새로 생성하거나 업데이트를 할때 사용. Db와 비교 해보면 Get은 SELECT와 가깝고 Post는 CREATE와 가깝다. 2.요청에 Body의 유무 Get은 URL파라미터에 요청하는 데이터를 담아 보내기 때문에 HTTP메시지에 body가 없다. 반면 Post는 body에 데이터를 담아 보내기 때문에 당연히 HTTP메시지에 body가 존재한다. 3.멱등성(계속된 요청이 있어도 결과값이 달라지지 않는 것)의 차이 Get요청은 멱등이며 Post는 멱등이 아니다. 2021. 7. 2.
<2021.07.02>Request 기본객체의 기능 Request 기본 객체의 기능 클라이언트(웹브라우저)와 관련된 정보 읽기 기능 서버와 관련된 정보 읽기 기능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요청 파라미터 읽기 기능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요청 헤더 읽기 기능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쿠키 읽기 기능 속성처리 기능 2021. 7. 2.
<2021.07.02>JSP 구성요소중 디렉티브, 스크립트릿,표현식 이란? 1.디렉티브 -JSP에 대한 설정 정보 또는 JSP페이지에 다른 문서를 포함 시킬때 사용한다. 스크립트언어 , 에러페이지 지정,버퍼설정등을 정의 한다 . 번역단계에서 다른문서를 포함시킨다. 태그 라이브러리 를 선언한다 2.스크립트 릿 -JSP페이지 내부에 JAVA소스코드를 삽입할때 사용 3.표현식 -HTML요소 내에 VALUE를 넣기 위해 사용한다. 2021. 7. 2.
<2021.07.02>WAS란?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웹서버가 동적인 요청을 받으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직을 실행하여 다시 반환해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엔진)를 의미한다. 클라이언트 -(http request )> Web server -(애플리케이션 로직 실행 요청 )> Was -(data요청 )>Database-(데이터 반환 )>Was-(로직 처리 결과 반환 )>Web server -(http response )>클라이언트 2021. 7. 2.